수질 오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질 오염은 인간과 자연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문제로, 다양한 오염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오염 물질에는 유기 화합물, 무기 화합물, 열, 고형 폐기물 등이 있으며,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된다. 수질 오염은 생태계 파괴, 인간 건강 악화, 사회·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국제 협력이 필요한 문제이다. 해결을 위해 폐수 처리 기술 개선, 제도적 개선, 시민 참여, 교육 등이 필요하며, 대한민국 역시 산업화와 4대강 사업 이후 수질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층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 대수층 - 지하수 오염
지하수 오염은 유해 물질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다양한 오염 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한다. - 환경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과학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수질 오염 | |
---|---|
오염 개요 | |
정의 | 수역의 오염 |
설명 | 수질 오염은 호수, 강, 바다, 수자원과 같은 수역의 오염을 의미한다. 모든 수질 오염은 수역에 존재하지 않는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발생한다. |
원인 |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농업 산업 활동 생활 하수 |
영향 | 인간 건강 생태계 경제 |
오염 물질 | |
유형 | 유기물 무기물 독성 화학 물질 병원성 미생물 방사성 물질 열 |
주요 물질 | 질산염 인산염 중금속 살충제 제초제 |
오염원 | |
점오염원 | 하수 처리장 산업 시설 |
비점오염원 | 농경지 도시 지역 건설 현장 |
오염 경로 | |
강 | 산업 폐수 농업 폐수 생활 하수 |
호수 | 농업 유출수 산성비 |
바다 | 하천 오염 물질 선박 오염 해양 투기 |
오염 영향 | |
인간 건강 | 수인성 질병 중금속 중독 화학 물질 노출 |
생태계 | 생물 다양성 감소 부영양화 산호초 파괴 |
경제 | 어업 피해 관광 산업 피해 정화 비용 증가 |
수질 관리 및 보호 | |
법적 규제 | 배출 허용 기준 수질 환경 기준 |
오염 방지 기술 | 하수 처리 기술 폐수 재활용 기술 친환경 농업 기술 |
수질 감시 | 정기적인 수질 검사 오염원 추적 수질 모델링 |
국제 협력 | 다자간 환경 협약 기술 및 정보 공유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부영양화 수질 지수 수생태계 지하수 오염 |
관련 단체 | 환경보호청 국제연합 환경 계획 국제 수질 협회 |
외부 링크 | 하버드 공중보건대학 환경보건 교육 프로그램 수질 오염 미국 환경보호청 물 |
2. 오염 물질
수질 오염이란 물의 본래 성질이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변화하여, 식수나 공업용수 등 본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거나 수생 생물의 생존에 위협을 받는 상태를 말한다.[63] 인간은 생활 배수, 산업 폐수, 농업 활동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등 수자원을 오염시키고 있다.
수질을 오염시키는 물질은 매우 다양하며, 그 발생원 또한 복합적이다. 주요 오염원으로는 도시 및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 농경지에서 흘러나오는 화학 비료와 살충제,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 선박 사고나 해저 유전 등에서 유출되는 기름, 그리고 부적절하게 처리되거나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각종 폐기물 등이 있다. 심지어 발전소 등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뜨거운 물도 수온을 변화시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크게 유기성 오염 물질과 무기성 오염 물질, 그리고 기타 오염 물질로 나눌 수 있다.
- 유기성 오염 물질: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생활 하수나 축산 폐수 등에 포함된 생분해성 유기물, 살충제, 제초제, 합성세제, 산업용 용매, 석유 탄화수소, 의약품, 화장품 성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하수나 분뇨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도 유기성 오염의 중요한 원인이다.
- 무기성 오염 물질: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이나 원소로, 농업 활동에서 비롯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 산업 활동이나 광산 등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수은, 납, 카드뮴 등), 산성 물질, 건설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실트(퇴적물), 도로 제설용 염분 등이 있다.
- 기타 오염 물질: 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열 오염), 플라스틱 쓰레기(고형 폐기물, 미세 플라스틱), 방사성폐기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계로 유입되어 축적되며, 해양 오염과 지하수 오염 등 광범위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2. 1. 유기성 오염 물질

수계로 유입되는 유기물질은 종종 독성을 띤다.[14] 도시의 하수 등 유기성 폐기물은 수용 수계에 과도한 산소 부담을 주어, 생태계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소 고갈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부적절하게 처리된 폐수는 영양소, 병원체, 이종 부유 물질 및 유기성 분변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63]
주요 유기성 오염 물질과 그 영향은 다음과 같다.
오염 물질 | 주요 대표 매개변수 | 오염 물질의 가능한 영향 |
---|---|---|
생분해성 유기물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 |
병원체 | 수인성 질환 | |
비생분해성 유기물 | ||
* 이러한 오염 물질의 원인은 가정 및 산업 폐수, 도시 유출수 및 농업 지역의 빗물 배수임[63] |
=== 병원체 ===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및 기생충은 폐수에서 발견될 수 있는 병원체의 예이다.[63] 물의 병원성 오염을 조사하기 위해 지표 생물을 사용하는데, 이는 병원체의 농도가 낮아 직접 검출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물 샘플의 분변 오염 지표(세균 지표)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총 대장균군(TC) 또는 분변 대장균군(FC)이며, 후자는 ''대장균''과 같은 내열성 대장균군으로도 불린다.[63]
병원체는 사람이나 동물 숙주에서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11] 오염된 지표수에서 때때로 발견되어 인체 건강 문제를 일으킨 일부 미생물에는 ''부르크홀데리아 슈도말레이'',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 ''람블편모충'',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및 기타 바이러스, 그리고 ''혈관흡충'' 종을 포함한 기생충이 있다.[12] ''A형 간염 바이러스''(HAV)와 같은 병원체는 처리된 폐수 유출수와 수용 수역에 존재할 수 있지만, 식수의 추가 처리 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다.[9]
수역에서 높은 수준의 병원체의 원인은 인분( 무분별한 배설 때문), 하수, 오수, 또는 수역으로 유입된 분뇨일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위생 절차 부족 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현장 위생 시설( 정화조, 움막식 화장실) , 소독 단계가 없는 하수 처리장, 폭풍우 시 발생하는 하수관 역류 및 합류식 하수도 역류(CSOs)[13], 그리고 집약 농업(관리가 부실한 축산업)일 수 있다.
=== 화학 물질 ===
다양한 유기 화학 물질 또한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 석유 탄화수소: 연료(휘발유, 경유, 제트 연료, 중유)와 윤활유(엔진오일), 그리고 연소 부산물을 포함하며, 기름 유출(oil spill)이나 빗물(storm water) 유출[15]을 통해 수계로 유입된다. 원유는 바다 위를 떠다니다 바닷물과 태양의 작용에 의해 몇 주일 후면 분해되지만, 기름 유출이 육지 근처에서 일어나면 해안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수백만 배럴의 원유가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들어 환경에 큰 피해를 주었다.
-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부적절하게 저장된 산업용 용매 등에서 발생한다. 문제가 되는 물질은 폴리염화비페닐(PCBs, polychlorinated biphenyl)과 일반적인 용매인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같은 유기염소화합물(organochloride)이다. DNAPL(dense non-aqueous phase liquids) (염소 처리 용매 등)은 불용성·난용성이기 때문에, 저수지 바닥에 침전한다.
- 살충제 및 제초제: 농업 유출수에서 자주 발생하며,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다.
- 개인 위생 및 화장품 관련 화학 물질: 다양한 화학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 호르몬 및 유사 물질: 축산 및 인간 호르몬 피임 잔류물, 또는 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 물질이 포함된다.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자연 생물과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6][7][8]
- 과불화알킬 및 폴리불화알킬 물질(PFAS,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다.[16][17]
- 의약품 및 대사산물: 환경 지속성 의약품 오염물질에는 항우울제, 항생제, 경구피임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마약 밀매의 대사산물: 폐수 기반 역학조사를 통해 메탐페타민이나 엑스터시 같은 마약의 대사산물이 검출되기도 한다.[22][23]
- 기타 유기 오염 물질: 합성세제, 식품 가공 폐기물, 목재 반출 사업으로부터의 목재와 떨어진 조각 등이 있다. 세제는 거품을 유발하고 산소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화학적으로 소독된 상수에서 발견되는 소독 부산물도 오염 물질이 될 수 있으나, 휘발성이 강해 환경 수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5]
2. 2. 무기성 오염 물질



무기성 수질 오염 물질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계로 유입되어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대표적인 예로 논밭에 뿌려지는 화학 비료를 들 수 있다. 화학 비료에 포함된 인산염과 질산염은 빗물에 쉽게 씻겨 강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렇게 과도하게 유입된 영양 염류는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수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린다.[15][18] 부영양화는 플랑크톤의 비정상적인 대량 증식을 초래하여 어업에 피해를 주는 적조 현상이나, 대량 발생한 플랑크톤이 물 속 산소를 고갈시켜 생기는 청조 현상 등을 일으키며, 이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중금속 오염 역시 심각한 문제이다. 산업 활동이나 자동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시 유출수[15][18], 광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광산 배수 등을 통해 수은, 구리, 아연,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수계로 유입된다. 이러한 중금속은 해양 생물 체내에 축적되어 먹이 사슬을 통해 상위 포식자로 이동하며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고농도의 중금속이 해양 생물에서 검출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무기성 오염 물질이 존재한다.
오염 물질 종류 | 주요 발생원 | 주요 영향 |
---|---|---|
인산염, 질산염 | 화학 비료, 하수, 농업 배수 | 부영양화 (적조, 청조 등) |
중금속 | 자동차 (도시 유출수)[15][18], 산성 광산 배수 | 해양 생물 내 축적, 생태계 교란 |
암모니아 | 식품 가공 폐수 | 수질 악화, 생물 독성 |
실트 (퇴적물) | 건설 현장, 하수, 벌목, 화전, 토지 개간 유출수 | 광합성 방해, 하천/호수 바닥 퇴적, 생태계 교란 |
소금 | 제빙용 도로 염 사용 등[20][21] | 담수 염분화[19] |
산성 물질 | 산업 폐기물, 발전소(아황산가스) | 수생 생물 피해, 생태계 산성화 |
산업 오염물 | 산업용 원료 펠릿, 화학 폐기물 | 수질 오염, 독성 물질 유입 |
특히 건설 현장, 벌목, 화전, 토지 개간 등에서 발생하는 실트(퇴적물)는 물을 혼탁하게 만들어 햇빛 투과를 막음으로써 수중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고, 강바닥이나 호수 바닥을 덮어 생태계에 피해를 준다. 또한 겨울철 도로에 뿌려지는 제빙용 염분은 담수 생태계의 염분 농도를 높이는 담수 염분화를 유발할 수 있다.[19][20][21] 산업 시설에서는 중금속 외에도 산성 물질(특히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플라스틱 원료인 펠릿, 각종 화학 폐기물 등을 배출하여 수질을 오염시킨다. 이러한 산업 폐수는 때때로 높은 온도를 동반하여(특히 발전소 냉각수) 물 속 용존 산소량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화산 폭발, 해조류의 이상 증식, 폭풍우, 지진과 같은 자연 현상도 수질과 수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해 수질이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수질 오염이라고 정의한다.
2. 3. 기타 오염 물질
뜨거운 물은 낮은 온도에 적응되어 있던 동·식물을 죽이고,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줄인다. 뜨거운 물은 대부분 냉각을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산업시설이나 발전소에서 나온다. 수권으로 뜨거운 물이 들어갈 경우에도 자연 순환은 혼란에 빠진다.
고형 폐기물은 처리되지 않은 하수, 합류식 하수도의 넘침, 도시 유출수, 사람들이 환경에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 매립지에서 불어오는 바람 등을 통해 수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물을 오염시키는 큰 눈에 보이는 물질인 거시적 오염을 초래하지만,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도 발생시킨다. 해양 폐기물과 해양 플라스틱 오염이라는 용어는 해양 오염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특히 수생태계와 해양 생태계에서 높은 수준으로 환경에 지속적으로 남아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24] 해양 미세 플라스틱의 35%는 섬유/의류에서 발생하는데, 주로 폴리에스터, 아크릴 또는 나일론 기반 의류의 침식, 특히 세탁 과정에서 발생한다.[25]
빗물, 처리되지 않은 하수 및 바람은 육지에서 바다로 미세 플라스틱이 이동하는 주요 통로이다. 합성 섬유, 타이어 및 도시 먼지가 미세 플라스틱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이 세 가지 원인은 모든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80% 이상을 차지한다.[26][27]
3. 수질 오염의 원인
물의 성질이 자연적 또는 사람의 활동에 의한 요인으로 변화하여, 본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 상태를 수질 오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물이 인위적인 오염 물질 유입으로 인해 식수와 같은 특정 목적에 사용될 수 없거나, 어류와 같은 수생 생물의 서식 환경이 크게 저해될 때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63]
수질 오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생활하수나 산업 폐수의 무단 방류는 주요 오염원이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강을 통해 호수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축적된다. 자연에는 스스로 정화하는 능력이 있지만,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양이 과도하면 자연 정화 능력을 넘어서 오염이 심화된다. 수질 오염은 하천, 호수, 늪, 지하수뿐만 아니라 내해, 연안 해역, 심지어 먼바다까지 확산될 수 있다. 특히 호수나 늪과 같이 물의 흐름이 느린 곳은 오염 물질이 쉽게 쌓여 지역 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된다.
해양 오염은 하천이나 호수 오염보다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발생한다. 강으로부터 흘러드는 오염 물질 외에도 선박 사고나 해저 유전 개발 중 발생하는 기름 유출, 유해 폐기물의 해양 투기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바다 표면을 떠다니며 미관을 해치고 선박 운항을 방해하며, 해양 생물이 이를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는 등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지하수 오염은 주로 지표의 오염된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발생한다. 하수관이나 정화조 누수, 각종 화학물질 유출, 농경지에 사용된 화학 비료나 땅속에 매립된 방사성폐기물 등이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지하수는 한번 오염되면 정화가 매우 어렵고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하수로 유입되는 것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과거 일부 매립장의 침출수 차단 시설 미비로 인해 주변 지하수 오염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대기 오염 물질도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공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황이나 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물 분자와 반응하여 산성비를 형성한다. 산성비는 호수나 늪의 산성도를 높여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발생 지역뿐 아니라 바람을 타고 이동하여 다른 지역에도 피해를 준다. 예를 들어,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여러 나라를 거쳐 북해로 흐르는 라인강은 연안 공장 폐수와 산성비의 영향으로 유럽에서 오염이 심각한 하천 중 하나가 되었다.[83] 또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은 해양 산성화를 유발하여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형태의 수질 오염이다.[50]
이 외에도 화산 활동, 해조류의 이상 증식, 폭풍우, 지진과 같은 자연 현상이나, 건설 현장, 산림 벌채, 농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흙탕물(실트) 유출 등도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흙탕물은 물의 투명도를 낮춰 광합성을 방해하고, 강바닥이나 호수 바닥을 덮어 수생 생태계에 피해를 준다.
수질 오염의 원인은 발생 지점의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84] 특정 지점에서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점 오염원(Point source)과 넓은 지역에 걸쳐 불특정하게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비점 오염원(Non-point source)이다. 점 오염원은 하수관이나 배수로 등 명확한 경로를 통해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경우로, 생활하수나 공장 폐수 배출구 등이 대표적이다. 비점 오염원은 오염 발생 지점이 명확하지 않고 넓은 지역에서 비롯되는 오염으로, 농경지에서 비료나 농약 성분이 빗물에 씻겨 유출되거나 도시 지역 도로의 오염 물질이 빗물과 함께 씻겨 내려가는 경우 등이 해당한다.
3. 1. 점 오염원
점 오염원이란 수도관이나 배수로와 같이 단일하고 식별 가능한 전달 통로를 통해 수로로 흘러드는 오염 물질을 의미한다.[85][34] 생활하수, 공장폐수, 하수 처리장 배출물, 도시의 빗물 배수관을 통해 흘러드는 물 등이 점 오염원에 속한다.미국의 깨끗한 물 법 (Clean Water Act, CWA)은 규제 집행 목적으로 점 오염원을 정의한다.[85][34] 1987년에는 이 규정이 개정되어 도시의 빗물 배수관이나 건설 현장과 같은 산업 빗물 배출구도 점 오염원에 포함되었다.[86][35]
점 오염원의 주요 예시인 하수와 산업폐수는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하수'''
하수는 일반적으로 99.9%의 물과 0.1%의 고형물로 구성되어 있으며[36],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인산염과 같은 영양소의 주요 공급원이다.[37] 또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화학 물질과 병원체를 포함할 수 있다.
- 개인 위생 및 화장품 제품에 포함된 다양한 화학 화합물.[22][23]
- 화학적으로 소독된 상수에서 발견되는 소독 부산물. (주로 상수도망 내 문제)[5]
- 호르몬(축산 및 인간 호르몬 피임 잔류물) 및 프탈레이트와 같이 호르몬 작용을 모방하는 합성 물질. 낮은 농도에서도 생물과 인간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6][7][8]
- 농업 유출수에서 자주 발생하는 살충제 및 제초제.
- ''A형 간염 바이러스''(HAV)와 같은 병원체.[9]
부적절하게 처리된 하수는 영양소, 병원체, 이종 부유 물질 및 유기성 분변 물질을 수역으로 운반할 수 있다.[63] 폭풍우 시 발생하는 하수관 역류나 합류식 하수도 역류(CSOs)는 처리되지 않은 하수를 직접 배출하여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13]
'''산업폐수'''
물을 사용하는 산업 공정에서는 산업폐수가 발생한다. 주요 배출 산업으로는 발전소, 석유 정제소, 철강 공장, 펄프 및 제지 공장, 식품 가공업체 등이 있다.[1] 산업폐수는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오염 물질을 수계에 유입시킬 수 있다.
- 중금속(수은, 납, 크롬 등)
- 유기물과 영양소 (높은 BOD, 암모니아성 질소, 기름 등)[39][14]
- 무기물 입자 (모래, 금속 입자, 세라믹 등)
- 독소 (살충제, 제초제 등)
- 의약품, 내분비계 장애물질, 호르몬, 과불화화합물 등[40][41][42]
- 미세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43]
- 발전소 등의 열 오염
- 우라늄 광산, 원자력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핵종
- 퍼플루오로알킬 및 폴리플루오로알킬 물질(PFAS)과 같은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16][17]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생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38]

오염 물질 | 주요 대표 매개변수 | 오염 물질의 가능한 영향 |
---|---|---|
부유물질 | 총부유물질 | |
생분해성 유기물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 |
영양소 | ||
병원체 | 수인성 질환 | |
비생분해성 유기물 | ||
무기 용존 고형물 | ||
* 이러한 오염 물질의 원인은 가정 및 산업 폐수, 도시 유출수 및 농업 지역의 빗물 배수임[63] |
'''병원체'''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가 폐수에서 발견될 수 있다.[63] 물 속 병원체 농도가 낮아 직접 검출이 어렵기 때문에, 분변 오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지표 생물 (주로 총 대장균군 또는 분변 대장균군, 특히 ''대장균'')을 사용한다.[63] 이러한 병원체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11] 주요 수인성 병원체로는 ''부르크홀데리아 슈도말레이'',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 ''람블편모충'',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기생충(예: ''혈관흡충'' 종) 등이 있다.[12]
수역에서 병원체 농도가 높아지는 주요 원인은 인분(무분별한 배설), 처리되지 않은 하수, 오수, 분뇨 유입 등이다. 이는 부족한 위생 시설( 정화조, 움막식 화장실 등), 소독 과정이 없는 하수 처리장, 하수관 역류, 합류식 하수도 역류(CSOs), 부실하게 관리되는 집약 농업 등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13]
3. 2. 비점 오염원
비점 오염원은 점 오염원과 달리 오염원이 특정 지점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한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나타나는 오염 형태이다. 예를 들어, 농경지에서 사용된 비료의 질소 화합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물(침출수)에 섞여 강물로 흘러드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또한, 농경지나 숲에서 내린 비에 의해 유기물질이 씻겨 내려가는 현상도 비점 오염에 해당한다.도시 지역에서도 비점 오염이 발생한다. 주차장, 도로, 고속도로 등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이 비에 씻겨 내려가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다만, 이렇게 오염된 물이 빗물 배수관을 통해 특정 지점으로 모여 배출된다면 이는 점 오염원으로 분류된다. 즉, 오염된 물이 특정 경로 없이 넓은 지역의 지표면을 통해 배수될 때 비점 오염으로 간주한다.
농업 활동은 비점 오염으로 인한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비료 사용과 농경지, 목초지, 축산 농가 등에서 발생하는 표면 유출수는 하천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 영양염 오염을 일으킨다.[44] 식물을 재배하는 농업뿐 아니라 양식업 역시 오염원이 될 수 있다. 농업 지역에서 흘러나오는 물에는 높은 농도의 농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1]
대기 침착 역시 비점 오염의 한 형태이다. 이는 산업 활동이나 자연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대기 오염 물질이 비나 눈, 혹은 건조한 상태로 수역에 가라앉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침착은 오염 발생원 근처뿐만 아니라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영향을 미쳐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산업 활동으로 인한 대기 침착에서 흔히 발견되는 수질 오염 물질로는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수은 화합물, 기타 중금속, 일부 살충제 및 산업 부산물 등이 있다. 대기 침착의 자연적 원인으로는 산불이나 미생물의 활동 등이 있다.[45]
산성비는 대기 중으로 배출된 이산화황과 산화질소가 물 분자와 반응하여 산성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한다.[46] 1970년대 이후 일부 국가에서는 대기 중 이산화황과 산화질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산성비를 유발하는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의 주요 배출원은 인위적인 활동이지만, 번개가 칠 때 자연적으로 산화질소가 생성되거나 화산 분출 시 이산화황이 배출되기도 한다.[47] 산성비는 식물, 수생태계, 그리고 건물이나 다리 같은 사회기반시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48][49]
또한, 1850년대 이후 온실가스 배출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했다.[59] 이는 바닷물의 산성도를 높이는 해양 산성화를 유발하며, 이 역시 대기 오염 물질이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형태의 오염이다.[50]
4. 수질 오염의 영향
수질 오염은 물의 자연적인 성질이 인간 활동 등으로 인해 변화하여, 물을 본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거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한다.[63] 일반적으로 물은 인위적인 오염 물질에 의해 손상될 때 오염된 것으로 간주되며, 이로 인해 식수와 같은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거나, 어류와 같은 생물 군집을 지탱하는 능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인간이 배출하는 생활 하수나 산업 폐수 등은 강물을 거쳐 호수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축적된다. 자연의 정화 능력으로 일부 오염 물질이 제거되기도 하지만, 많은 양은 그대로 남아 수질 오염을 심화시킨다. 이러한 오염은 하천, 호수, 늪, 지하수에서부터 내해, 연안, 외해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호수나 늪은 오염 물질이 쉽게 축적되는 특성이 있다. 지하수 오염은 주로 지표수의 오염 물질이 땅속으로 스며들거나, 화학 비료, 매립된 방사성폐기물 등에 의해 발생하며,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수질 오염은 이미 남극과 북극까지 확산되어 생태계 먹이사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오염 물질과 그 영향은 다음과 같다.
오염 물질 | 주요 대표 매개변수 | 오염 물질의 가능한 영향 |
---|---|---|
부유물질 | 총부유물질 | |
생분해성 유기물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 |
영양소 | ||
병원체 | 수인성 질환 | |
비생분해성 유기물 | ||
무기 용존 고형물 | ||
* 이러한 오염 물질의 원인은 가정 및 산업 폐수, 도시 유출수 및 농업 지역의 빗물 배수임[63] |
이처럼 다양한 경로와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질 오염은 수생태계의 건강을 해치고,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며, 물 이용을 제약하는 등 광범위한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환경 문제이다.
4. 1. 생태계 영향
수질 오염은 담수, 연안, 해양수를 포함한 모든 수생태계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전 세계적인 환경 문제이다.[55] 오염 물질은 다양한 화학 물질, 병원균뿐만 아니라 수온 상승과 같은 물리적 변화까지 포함한다. 칼슘, 나트륨, 철, 망간 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도 농도가 높아지면 수생 동식물에게 해를 끼쳐 오염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식물성 물질(나뭇잎, 풀 등)이나 인공 화학 물질과 같은 산소 고갈 물질은 물속 용존 산소를 고갈시켜 생태계를 위협하며, 흙탕물처럼 물을 흐리게 만드는 물질(탁도 유발 물질)은 햇빛을 차단하여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일부 어류의 아가미를 막기도 한다.[56]

다양한 오염원과 그 영향
- 산성비: 공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황과 산화질소가 대기 중 물 분자와 반응하여 생성된다.[46] 자연적으로 번개나 화산 분출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47], 주된 원인은 인간 활동이다. 산성비는 호수나 늪을 산성화시켜 생물이 살 수 없는 '죽음의 호수'로 만들며, 식물과 사회기반시설에도 피해를 준다.[48][49] 유럽이나 캐나다의 호수 산성화가 대표적인 예이며, 스위스에서 발원하여 여러 나라를 거치는 라인강처럼 국제 하천의 경우 연안 공장의 폐수 유입으로 오염 피해가 국경을 넘어 확산되기도 한다.[83]
- 영양염 오염: 농경지에 사용되는 화학 비료나 하수에 포함된 인산염, 질산염 같은 영양염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면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이는 플랑크톤의 비정상적인 대량 증식을 유발하여 물속 산소를 고갈시키고, 물고기 폐사로 이어지는 적조나 청조(대량 발생한 플랑크톤이 산소를 소모하여 발생) 현상을 일으킨다.[63] 질소 오염은 특히 호수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이다.
- 중금속 및 유해 화학물질: 산업 폐수 등을 통해 배출된 수은, 구리, 아연,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은 해양 생물 체내에 축적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상위 포식자에게 이동하며 농축된다. 선박 바닥 페인트나 어망 오염 방지제로 사용되는 TBT(트리부틸주석), TPT(트리페닐주석) 등도 독성을 지녀 해양 생태계에 해를 끼친다.
- 열 오염: 발전소나 산업 시설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뜨거운 물이 방류되면 수온이 상승한다. 이는 낮은 온도에 적응해 살던 동식물을 죽게 하고, 물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용존 산소)을 감소시킨다.[31][14] 높아진 수온은 먹이 사슬 구성을 바꾸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며, 고온에 잘 견디는 새로운 호열성 종의 침입을 유발할 수도 있다.
매사추세츠주 브레이턴 포인트 발전소는 2011년까지 홉 마운트 만(Mount Hope Bay)으로 가열된 물을 배출했다. - 기름 유출: 유조선 사고나 해저 유정에서 유출된 기름은 해안가를 황폐화시키고 바닷새와 해양 생물을 죽음으로 내몬다. 원유는 시간이 지나면 분해되지만, 유출량이 많거나 해안 근처에서 발생하면 생태계에 장기간 심각한 피해를 준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페르시아 만에 유출된 막대한 양의 원유는 환경에 큰 재앙을 초래했다.
- 고형 폐기물 및 플라스틱 오염: 처리되지 않은 하수, 쓰레기 무단 투기, 매립지에서 날아온 폐기물 등은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눈에 보이는 거시적 오염을 일으킨다.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는 잘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이 되는데, 이는 수생태계에 오랫동안 남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24] 해양 미세 플라스틱의 상당 부분(약 35%)은 옷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합성 섬유(폴리에스터, 아크릴, 나일론 등)에서 비롯된다.[25] 타이어 마모나 도시 먼지 등도 주요 발생원이다.[26][27] 이렇게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류를 따라 특정 지역에 모이기도 하는데, 북태평양에는 텍사스주 면적의 두 배에 달하는 거대한 쓰레기 섬(태평양 쓰레기 지대)이 형성되어 있다.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착각해 섭취하면 소화기관이 막혀 굶어 죽기도 한다.
- 위생 시설 부족: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안전한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28], 이는 분뇨 공개 배출과 같은 문제를 통해 수질 오염으로 이어진다. 특히 비가 오거나 홍수가 나면 인분이 지표수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 농업 오염: 농업 활동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비료와 농약 사용, 농경지 및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는 영양염 오염과 농약 오염을 유발한다.[44][1] 양식업 역시 오염원이 될 수 있다.
- 대기 오염 물질 침착: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온 오염 물질, 또는 산불과 같은 자연 현상으로 발생한 물질이 대기 중에 떠다니다가 비나 눈에 섞여 내려 수질을 오염시킨다.[45]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수은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바닷물에 녹아 들어가 해양 산성화를 유발하는데, 이 역시 대기 오염으로 인한 수질 오염의 한 형태이다.[59][50]
- 침입종: 외부에서 유입된 침입 생물 역시 기존 수생태계를 교란하는 생물학적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32]
오염 물질의 이동과 농축하천으로 유입된 오염 물질은 강물을 따라 결국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뉴욕만 사례 연구에 따르면, 허드슨강에서 흘러나온 독성 물질은 직접적인 배출 지점보다 오히려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플랑크톤(요각류 등)에게 섭취되어 최고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염 물질이 물의 흐름(코리올리 힘의 영향 포함)과 생물의 섭식 활동을 통해 이동하고 특정 지역에 농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염 물질은 먹이사슬을 통해 이동하면서 점차 농축되는 경향(생물 농축)이 있다. 예를 들어, 플랑크톤이 오염 물질을 섭취하고, 작은 물고기가 이 플랑크톤을 먹고, 다시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는 과정에서 중금속(예: 수은)이나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예: DDT)과 같은 유해 물질이 상위 포식자의 몸 안에 고농도로 쌓이게 된다. 이는 수산물의 대량 폐사로 이어지기도 한다.
지하수 오염지표수와 달리 지하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대수층을 통해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오염이 발생하면 정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부 오염 물질은 점토층과 같은 비투과성 지층에서 토양 입자에 흡착되거나 희석, 화학 반응, 미생물 분해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정화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오랫동안 지하수에 남아 있거나 토양 오염으로 변질된다. 특히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이나 테트라클로로에틸렌과 같은 염화 탄화수소는 발암성 물질이며, 분해 과정에서 1,2-디클로로에틸렌이나 염화 비닐과 같은 또 다른 유해 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암반의 균열(지각)이나 동굴처럼 물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있는 경우, 지하수는 지표수처럼 여과되지 않고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카르스트 지형에서 돌리네(sinkhole)를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하는 행위는 지하수 오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2차적 영향수질 오염은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다양한 2차적 영향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흙탕물(실트 함유 유출수)은 물의 투명도를 낮춰 수생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고, 열 오염은 물고기의 쇼크사를 유발하거나 특정 식물의 과도한 번성을 초래할 수 있다. 부영양화로 인한 산소 고갈 역시 대표적인 2차적 영향이다.
4. 2. 인간 건강 영향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오염된 물은 위장관 질환과 기생충 질환과 같은 수인성 질환을 퍼뜨려 180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57] 물을 통한 오염 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환경 보건 위험으로, 암이나 다른 질병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58]하수, 오수, 분뇨 또는 무분별한 배설로 인한 인분이 수역으로 유입되면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13][63] 이러한 병원체에는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기생충 등이 포함된다.[63] 병원체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수인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11] 오염된 물에서 발견되어 인체 건강 문제를 일으킨 미생물에는 ''부르크홀데리아 슈도말레이'',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 ''람블편모충'',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및 기타 바이러스, 그리고 ''혈관흡충'' 종을 포함한 기생충 등이 있다.[12] A형 간염 바이러스(HAV)도 처리된 폐수 유출수나 수용 수역에 존재할 수 있지만, 식수의 추가 처리 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다.[9] 물 속 병원체 농도가 낮아 직접 검출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물의 분변 오염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지표 생물(주로 대장균과 같은 대장균군)을 사용한다.[63]
화학적 오염 물질 역시 인간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 농업용 화학 비료나 하수에서 유래한 질산염은 특히 신생아에게 청색증(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중금속(수은, 구리, 아연, 카드뮴 등)은 독성을 가지며 해양 생물에 축적될 수 있고, 이는 먹이 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 농업 유출수에서 자주 발생하는 살충제 및 제초제는 독성을 지닌다.
- 개인 위생 및 화장품 제품에 포함된 다양한 화학 화합물, 호르몬(축산 및 인간 호르몬 피임 잔류물) 및 이를 모방하는 합성 물질(프탈레이트 등)은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자연 생물과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6][7][8]
- 다양한 의약품(항우울제, 항생제, 경구피임약 등)과 그 대사산물, 심지어 불법 약물(메탐페타민, 엑스터시 등)의 대사산물도 폐수를 통해 수계로 유입될 수 있다.[22][23] 이러한 환경 지속성 의약품 오염물질의 영향은 광범위할 수 있다.
- 부적절하게 저장된 산업용 용매와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과불화알킬 및 폴리불화알킬 물질(PFAS)과 같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도 수질 오염을 통해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16][17]
- 식품 가공 폐기물 등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는 어류 독성을 유발하며, 간접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영국에서는 하수 처리 문제로 인한 공중 보건 위험이 부각되고 있다. 2024년 영국 왕립 공학 아카데미는 강과 호수 등 수로의 수질 개선이 공중 보건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는 19세기 콜레라 퇴치에 비견될 만큼 중요하다고 지적했다.[76][77] 특히 건조한 날씨나 폭우 시 하수 농도가 높아져 강이나 하천에서의 물놀이 등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위험성이 경고되었다.[78] 개방 수역 수영이나 기타 수상 스포츠와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질 악화로 인한 건강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79][80] 실제로 2024 파리 올림픽 당시 센 강의 높은 하수 수치로 인해 트라이애슬론 수영 경기가 여러 차례 연기되기도 했다.[81]
4. 3. 사회·경제적 영향
수질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DO(용존산소량) 등이 있다. 이런 기준에 따라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하천의 수질 등급은 다음과 같다.[87]등급 | 수소 이온 농도(pH) | BOD(ppm) | COD(ppm) | 총 유기 탄소량(TOC) (mg/L) |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
---|---|---|---|---|---|
Ia (매우 좋음) | 6.5 ~ 8.5 | 1 이하 | 2 이하 | 2 이하 |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여과·살균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Ib (좋음) | 6.5 ~ 8.5 | 2 이하 | 4 이하 | 3 이하 |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II (약간 좋음) | 6.5 ~ 8.5 | 3 이하 | 5 이하 | 4 이하 |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으나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III (보통) | 6.5 ~ 8.5 | 5 이하 | 7 이하 | 5 이하 | 보통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일반적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IV (약간 나쁨) | 6.0 ~ 8.5 | 8 이하 | 9 이하 | 6 이하 | 상당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농업용수로 사용하거나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V (나쁨) | 6.0 ~ 8.5 | 10 이하 | 11 이하 | 8 이하 |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산책 등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활성탄 투입, 역삼투압 공법 등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VI (매우 나쁨) | 10 초과 | 11 초과 | 8 초과 |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움. |
5. 수질 오염 관리 및 해결 방안
수질 오염은 자연의 정화 능력을 넘어서는 심각한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관리와 노력이 필요하다. 생활하수, 산업 폐수, 농업 활동, 도시 유출수 등 다양한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미 오염된 수자원을 정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61] 이는 정부, 기업, 시민 사회 등 모든 주체의 책임감 있는 참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질 오염을 관리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기술적, 제도적, 그리고 시민 참여적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기술적 방안의 핵심은 폐수 처리 기술의 고도화이다. 효율적인 폐수 처리를 위해 1차, 2차, 3차 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장에서는 폐수 방류 전 유해 화학 물질 제거, 오염 물질 재사용 및 회수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하수 처리장, 산업 폐수 처리 시설, 농업 폐수 처리 시설, 건설 현장의 침식 방지 및 퇴적물 관리 시설 등 적절한 기반 시설 구축이 필수적이다.
제도적으로는 환경 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 마련과 집행 강화가 중요하다. 오염 물질 배출 기준 설정, 최적 이용 가능 기술(BAT) 도입 요구 등 다양한 규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환경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 요금 부과나 보조금 지급과 같은 경제적 수단 활용, 오염 배출권 시장 운영 등 시장 원리를 이용한 관리 방식도 병행될 수 있다.[61] 화학 물질 오염 관리에 있어서는 물질 수명 주기 평가를 고려하고 화학 혼합물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등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61] 이러한 노력은 국제적 협력부터 지역 단위의 수자원 정책 수립 및 개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식 개선 또한 필수적이다. 수많은 오염원이 인간의 일상 활동 및 소비와 직결되어 있으므로, 시민 교육을 통해 수질 오염의 심각성을 알리고 생활 속에서 오염 발생을 줄이기 위한 실천을 유도해야 한다. 올바른 폐기물 처리, 플라스틱 사용 저감, 친환경 제품 사용 등이 시민 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노력의 예시이다.
결국 수질 오염 문제는 기술 개발, 제도 개선, 시민 의식 향상이 함께 이루어져야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5. 1. 제도적 개선
환경 보호의 한 측면인 의무 규정은 수질 오염 문제 해결의 일부일 뿐이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염 관리를 위한 다른 중요한 도구로는 환경 교육, 경제적 수단, 시장 원리 및 더욱 엄격한 집행이 포함된다. 기준 설정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오염 물질에 대해 정의된 정량적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설정하는 "정확한" 기준이고, 다른 하나는 최적 이용 가능 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 BAT) 또는 최적 실행 가능 환경 옵션(Best practicable environmental option, BPEO)의 사용을 요구하는 "불확실한" 기준이다. 오염 관리를 위한 시장 기반 경제적 수단에는 요금 부과, 보조금 지급, 예치금 또는 환불 제도 운영, 오염 배출권 시장의 창출 및 집행 인센티브 제공 등이 포함될 수 있다.[61]화학적 오염 관리는 통합적 관리 대책, 국경을 초월한 고려 사항, 상호 보완적 관리 대책, 물질 수명 주기 고려 사항, 화학 혼합물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61]
수질 오염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기반 시설과 관리 계획이 필수적이다. 기반 시설에는 하수 처리장 및 산업 폐수 처리장과 같은 폐수 처리장이 포함될 수 있다. 농장을 위한 농업 폐수 처리 및 건설 현장의 침식 방지 역시 수질 오염 예방에 기여한다. 도시 유출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유출수의 속도와 양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질 오염 문제는 국제적 수준에서부터 개별 대수층 및 우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수자원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정을 요구한다.
- 필리핀: 2004년 제정된 공화국 법률 제9275호, 일명 필리핀 청정수법(Republic Act 9275)[75]은 폐수 관리에 대한 기본법이다. 이 법은 담수, 기수, 해수의 수질을 보호, 보존 및 회복하는 것이 국가 정책임을 명시하며, 특히 폐수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5]
- 영국: 2024년, 영국 왕립 공학 아카데미는 폐수가 영국 공중 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76] 이 연구는 영국의 주요 보건 전문가인 크리스 위티 경 등의 의견과 함께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보고서는 강과 호수 등 수로의 수질 개선을 통해 공중 보건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15가지 권고안을 영국 각 기관에 제시했다. 가디언 신문은 보고서 발표 후 위티 경과의 인터뷰를 통해 수질 개선과 하수 처리가 "공중 보건의 최우선 순위"가 되어야 한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를 19세기 영국에서 하수 처리 네트워크 개선 후 콜레라가 근절된 것에 비유했다.[77] 이 연구는 또한 하천 수량이 적거나 홍수, 폭우 시 하수 농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영국 언론은 이를 바탕으로 따뜻한 날씨에 얕은 강에서 물놀이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다.[78] 위티 경의 발언은 영국에서 개방 수역 수영이나 기타 수상 스포츠와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해 해안 및 내륙 수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79] 이후 나왔다. 그러나 수질 악화로 인해 건강 문제를 겪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80]
- 일본: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환경영향평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제정을 계기로 확산되었다. 지방자치단체별 고유의 환경영향평가 제도도 마련되어 있으며, 조사·예측·평가 항목 중 하나로 수질 오염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평가 방법으로는 조사단의 현지 파견을 통한 표본 수집과 화학 분석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평가는 환경세 과세나 행정적 조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제적으로도 수질 오염 문제는 중요한 현안이다.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센강의 높은 하수 오염 수치로 인해 트라이애슬론과 같은 수영 관련 경기가 여러 차례 연기되는 일이 발생했다.[81]
5. 2. 기술적 개선
가장 효율적인 폐수 처리는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의 세 단계를 거친다. 공장에서는 폐수를 방류하기 전에 해로운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화학 오염 물질을 재사용하거나 회수하는 제조 방법을 도입하여 산업 폐기물을 줄일 수도 있다.하수는 일반적으로 중앙 하수 처리장, 분산형 하수 시스템, 자연 기반 해결책[62] 또는 현장 하수 처리 시설과 정화조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수 안정화 연못은 하수 처리에 대한 저렴한 비용의 대안이 될 수 있다.[63] 자외선(햇빛)은 폐수 안정화 연못(하수 석호)의 일부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64]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서비스의 사용은 위생 시설 부족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28]

잘 설계되고 운영되는 처리 시스템(예: 2차 처리 단계 또는 더 발전된 3차 처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하수 내 오염 물질 부하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65] 일부 시설에는 영양소와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도 처리 기술은 미세 오염 물질의 배출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높은 재정적 비용과 에너지 소비 증가, 온실 가스 배출 증가와 같은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66]
폭풍우 시 발생하는 하수관 역류 문제는 하수 시스템의 정기적인 유지 관리와 개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대규모 복합 하수 시스템을 갖춘 도시들이 높은 비용 때문에 시스템 전체 분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보다는, 부분적인 분리 프로젝트와 녹색 인프라 접근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67][68] 어떤 경우에는 지자체에서 추가적인 합류식 하수관 월류수(CSO) 저장 시설을 설치하거나[69] 하수 처리 용량을 확장하기도 한다.[70]
물을 사용하는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수는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일부 산업에서는 용매, 중금속(수은, 납, 크롬 등), 유기물, 영양소, 무기물 입자, 독소, 의약품, 미세 플라스틱,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PFAS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 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39][14][40][41][42][43][16][17] 발전소나 산업 제조업체는 열 오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산업 폐수 처리 시설은 이러한 오염 물질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화학 비료(인산염, 질산염 포함) 유출은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 있다. 농업 폐수 처리는 이러한 오염을 관리하는 데 필요하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은 침식 방지 설비(예: 멀칭, 수경 파종)와 퇴적물 관리 설비(예: 침전지, 침사 펜스)를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다.[71] 자동차 연료나 콘크리트 세척수와 같은 유독 화학 물질의 배출은 유출 방지 및 관리 계획, 특수 설계된 용기(예: 콘크리트 세척수용), 그리고 오버플로우 제어 및 우회 제방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72]
도시 지역에서의 빗물 유출 관리는 유속과 유량을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 녹색 인프라와 같은 접근 방식이 도시 유출수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산림 벌채와 수문학적 변화로 인한 토양 침식 역시 퇴적물 손실과 잠재적인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73][74]
수질 오염 관리는 기술적 해결책 외에도 적절한 기반 시설과 관리 계획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하수 처리장, 산업 폐수 처리 시설뿐만 아니라, 농장을 위한 농업 폐수 처리 시설, 건설 현장의 침식 방지 및 퇴적물 관리 시설 등이 포함된다. 또한, 환경 보호를 위한 의무 규정 외에도 환경 교육, 경제적 수단, 시장 원리, 엄격한 법 집행 등 다양한 관리 도구가 중요하다. 오염 관리 기준은 특정 오염 물질에 대한 정량적 기준이거나, 최적 이용 가능 기술(BAT) 또는 최적 실행 가능 환경 옵션(BPEO) 사용을 요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요금, 보조금, 예치금/환불 제도, 오염 배출권 시장, 집행 인센티브와 같은 시장 기반 경제적 수단도 활용될 수 있다.[61] 화학적 오염 관리는 통합적 관리, 국경 초월 고려, 상호 보완적 대책, 물질 수명 주기 평가 고려, 화학 혼합물 영향 평가 등을 포함하는 전체론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61]
수질 오염 문제는 모든 수준(국제적 수준부터 개별 대수층 및 우물까지)에서 수자원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정을 요구한다.
5. 3. 시민 참여 및 교육
수질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이해와 참여가 중요하다. 수질 오염의 많은 원인이 인간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개인 위생 용품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화학 물질[5], 축산이나 인간 호르몬 피임 등에서 비롯된 호르몬 물질[6][7][8], 농업 유출수 속 살충제 및 제초제 등이 처리되지 않은 채 수계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하게 처리된 하수는 영양소, 병원체, 부유물질 등을 수역으로 옮기며[63], 전 세계적으로 약 45억 명이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현실[28]은 분뇨 공개 배출 등을 통해 수질 오염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역시 심각한 문제로, 플라스틱 재활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26][29][30]
이처럼 다양한 오염원이 인간의 생활 및 산업 활동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수질 오염의 심각성과 원인, 그리고 수자원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 교육과 인식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시민들이 오염 발생원을 줄이기 위한 생활 속 실천(예: 올바른 폐수 처리, 쓰레기 배출 관리 등)에 동참하고, 관련 정책 및 관리 시스템 개선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6. 국제 협력
라인강은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프랑스와 독일 국경을 지나 독일과 네덜란드를 거쳐 북해로 흘러드는 국제 하천이다. 지류와 운하를 통해 지중해, 흑해, 발트해와도 연결되어 유럽의 중요한 교통 동맥 역할을 하지만, 연안 공장에서 흘러나오는 폐수로 인해 유럽에서 수질 오염이 가장 심각한 하천 중 하나가 되었다.[83] 이는 여러 국가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국제 하천 오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유럽이나 캐나다에서는 산성비로 인한 호수와 늪의 산성화가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산성화된 호수는 생태계가 파괴되어 생물이 살 수 없는 '죽음의 호수'가 될 수 있으며, 산성비 피해는 발생 국가뿐 아니라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국제적인 문제로 다루어진다.
해양 오염 역시 국경을 넘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하천을 통해 흘러드는 유기물이나 유해 물질, 선박이나 해저 유전에서의 기름 유출, 유해 폐기물의 해양 투기 등 다양한 경로로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전 세계 바다에서 발견되며, 미관을 해치고 선박 운항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바다 동물이나 새에게도 심각한 위협이 된다. 2022년 기준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는 전 세계 바다로 배출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약 1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6][29]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와 플라스틱 재활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플라스틱 생산 및 폐기량이 워낙 많아 플라스틱 오염의 절대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30] 설령 해양 플라스틱 오염이 완전히 멈춘다 해도, 이미 바다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해수면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30]
안전한 위생 시설 부족 역시 국제적인 수질 오염 문제와 연관된다. 2017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 약 45억 명이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8] 이러한 상황은 분뇨 공개 배출과 같은 비위생적인 처리 관행으로 이어져, 비가 오거나 홍수가 발생했을 때 인분이 지표수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처럼 수질 오염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관심과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7. 대한민국의 수질 오염 현황 및 정책
대한민국의 경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수질 오염 문제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특히 쓰레기 매립지의 경우, 김포쓰레기매립장을 제외한 기존의 많은 매립장에서는 침출수가 지하수로 흘러드는 것을 막는 시설이 미비하여 주변 지역의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이명박 정부 시기에 추진된 4대강 정비 사업 이후 주요 강의 수질이 악화되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사회적 논란이 되기도 했다.
8. 결론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활 하수나 산업 폐수 등 오염된 물이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서 수질 오염이 시작된다. 이렇게 배출된 오염 물질은 자연의 정화 능력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 강을 따라 호수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서서히 축적된다. 이로 인해 수질 오염은 하천, 호수, 늪, 지하수를 넘어 바다의 연안과 먼바다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호수나 늪은 오염 물질이 쉽게 쌓이는 특성이 있다.
해양 오염은 더욱 광범위하고 심각한 양상을 띤다. 강으로부터 흘러드는 각종 오염 물질 외에도, 선박 사고나 해저 유전에서의 기름 유출, 유해 폐기물의 해양 투기 등 다양한 경로로 오염이 발생한다. 특히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바다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선박 운항에 지장을 주고 해양 생물이 잘못 섭취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지하수 오염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지표면의 오염된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거나, 하수도 및 정화조 누수, 화학 비료 사용, 땅속에 묻힌 방사성폐기물,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등이 주요 원인이다. 지하수 오염은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을 줄이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수질 오염 문제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남극과 북극까지 확산되어 지구 전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남극 생물의 먹이사슬에서도 오염 물질이 발견될 정도이다. 결국 인류는 수질 오염의 확산을 막고 환경을 보존하여 생태계를 지킬 것인지, 아니면 유일한 삶의 터전인 지구가 서서히 파괴되도록 방치할 것인지 중대한 선택에 직면해 있다.
참조
[1]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2]
웹사이트
Water Pollution
https://www.hsph.har[...]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2013-07-23
[3]
논문
Modeling the contribution of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to Thachin River water pollution
http://dx.doi.org/10[...]
2009-08-15
[4]
논문
Water pollution by agriculture
2008-02
[5]
논문
Regulated and emerging disinfection by-products in recycled waters
2018-10
[6]
웹사이트
Environment Agency (archive) –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PBT substances
http://www.environme[...]
Environment Agency
[7]
웹사이트
River sewage pollution found to be disrupting fish hormones
http://planetearth.n[...]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Council
[8]
웹사이트
Endocrine Disruption Found in Fish Exposed to Municipal Wastewater
http://toxics.usgs.g[...]
US Geological Survey
[9]
논문
Occurrence of Hepatitis A Virus in Water Matric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0]
서적
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Wastewater, Excreta and Greywater, Volume 4 Excreta and Greywater Use in Agriculture
http://www.susana.o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11]
서적
Pollution: Causes, effects, and control
https://pubs.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
[12]
간행물
Microbes and Urban Watersheds: Concentrations, Sources, & Pathways
http://cwp.org/docum[...]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13]
보고서
Report to Congress: Impacts and Control of CSOs and SSOs
https://www.epa.gov/[...]
EPA
2004-08
[14]
서적
Aquatic Pollution: An Introductory Tex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
[15]
서적
Stormwater Effects Handbook: A Toolbox for Watershed Managers,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unix.eng.ua.e[...]
CRC/Lewis Publishers
[16]
논문
Estimating Environmental Hazard and Risks from Exposure to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s): Outcome of a SETAC Focused Topic Meeting
2021-03
[17]
논문
What are the effects of PFAS exposure at environmentally relevant concentrations?
2020-11
[18]
간행물
Cars Are Leading Source of Metal Loads in California
http://cwp.org/docum[...]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19]
논문
Freshwater salinization syndrome on a continental scale
2018-01
[20]
논문
Origins of stream salinization in an upland New England watershed
2018-08
[21]
논문
Salt in freshwaters: causes, effects and prospects - introduction to the theme issue
2018-12
[22]
논문
Freshwater methamphetamine pollution turns brown trout into addicts
https://journals.bio[...]
2021
[23]
웹사이트
MDMA Gangs Are Literally Polluting Europe
https://www.vice.com[...]
Vice Media Group
2021-06-18
[24]
웹사이트
Development solutions: Building a better ocean
https://www.eib.org/[...]
[25]
웹사이트
More than ever, our clothes are made of plastic. Just washing them can pollute the oceans
https://www.vox.com/[...]
2018-09-19
[26]
웹사이트
Microplastics and Micropollutants in Water: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https://www.eib.org/[...]
2023-02-27
[27]
웹사이트
Microplastics from textiles: towards a circular economy for textiles in Europe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www.eea.euro[...]
[28]
간행물
Progress on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2017 Update and SDG Baselines
https://washdata.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2017
[29]
웹사이트
Half of plastic trash in oceans comes from 5 countries
https://www.cnbc.com[...]
2016-01-13
[30]
웹사이트
Plastic Pollution
https://ourworldinda[...]
[31]
서적
Water pollution: causes, effects and control
https://www.worldcat[...]
New Age International
2006
[32]
논문
Assessment of biopollution in aquatic ecosystems
2007
[33]
논문
Risk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widely underestimated because of fast flow into aquifers
2021-05-18
[34]
법률
Clean Water Act (CWA), section 502(14)
[35]
법률
U.S. CWA section 402(p)
[36]
서적
Wetlands for Water Pollution Control
[37]
서적
Water Pollution Control
[38]
웹사이트
Governments unite to step-up reduction on global DDT reliance and add nine new chemicals under international treaty
http://chm.pops.int/[...]
Stockholm Convention Secretariat
2009-05-08
[39]
서적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use
https://www.worldcat[...]
McGraw-Hill
2003
[40]
학술지
Review on the occurrence, fate and removal of perfluorinated compounds during wastewater treatment
2015-08-01
[41]
학술지
Mass loading and fate of linear and cyclic siloxanes i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Greece
2013-02-01
[42]
학술지
Drugs of abuse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different groups of population on the Greek Island of Lesvos through sewage-based epidemiology
2016-09-01
[43]
학술지
Review on the occurrence and fate of microplastics in Sewage Treatment Plants
2019-04-01
[44]
서적
Nutrient Pollution From Agricultural Production: Overview, Management and a Study of Chesapeake Bay
https://novapublishe[...]
Nova Science Publishers
2016
[45]
보고서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Air Deposition
https://nepis.epa.go[...]
EPA
2001-09-01
[46]
웹사이트
What is Acid Rain?
https://www.epa.gov/[...]
EPA
2022-06-24
[47]
학술지
An evaluation of lightning and corona discharge on thunderstorm air and precipitation chemistry
1990-01-01
[48]
웹사이트
Effects of Acid Rain
https://www.epa.gov/[...]
EPA
2022-04-24
[49]
서적
Disease Control Prior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2006
[50]
학술지
Ocean acidification: the other CO2 problem
2009-01-01
[51]
서적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52]
서적
Chemistry of the Environment
Checkmark Books
[53]
보고서
National Rivers and Streams Assessment 2008–2009: A Collaborative Study
https://www.epa.gov/[...]
EPA
2016-03-01
[54]
학술지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55]
서적
Anthropogenic Pollution of Aquatic Ecosystem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9-30
[56]
학술지
Turbidity, Suspended Sediment and Water Clarity: A Review
https://onlinelibrar[...]
2001-10-01
[57]
뉴스
Study links pollution to millions of deaths worldwide
https://www.reuters.[...]
Reuters
2017-10-19
[58]
서적
Creating Healthy and Sustainable Building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59]
학술지
Oceanography: anthropogenic carbon and ocean pH
https://zenodo.org/r[...]
2003-09-01
[60]
뉴스
China says water pollution so severe that cities could lack safe supplies
http://www.chinadail[...]
2005-06-07
[61]
서적
Pollution: Causes, Effects and Control
https://pubs.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62]
간행물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8: Nature-based Solutions for Water
http://www.unwater.o[...]
UN-Water
2018
[63]
학술지
Wastewater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Disposal
IWA Publishing
2007
[64]
학술지
Quantification of seasonal photo-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intermediates in a municipal sewage lagoon upon sunlight exposure
2021-04-01
[65]
보고서
Primer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https://nepis.epa.go[...]
EPA
2004
[66]
학술지
Questioning the excessive use of advanced treatment to remove organic micropollutants from wastewater
2007-07-01
[67]
웹사이트
Wasted: How to Fix America's Sewers
https://media4.manha[...]
Manhattan Institute
2016-02-25
[68]
보고서
Greening CSO Plans: Planning and Modeling Green Infrastructure for Combined Sewer Overflow Control
https://www.epa.gov/[...]
EPA
2014-03-01
[69]
웹사이트
Clean Rivers Project
https://www.dcwater.[...]
District of Columbia Water and Sewer Authority
[7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nd Ohio Reach Clean Water Act Settlement with City of Toledo, Ohio
http://yosemite.epa.[...]
EPA
2002-08-28
[71]
간행물
Tennessee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Handbook
http://tnepsc.org/ha[...]
Tennesse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012
[72]
보고서
Concrete Washout
https://nepis.epa.go[...]
EPA
2012-02
[73]
논문
Effect of deforestation on access to clean drinking water
2019-04
[7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land use are accelerating soil erosion by water
https://www.scienced[...]
2020-08-24
[75]
웹사이트
An Act Providing for a Comprehensive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lawphil.n[...]
2016-09-30
[76]
웹사이트
Testing the waters Priorities for mitigating health risks from wastewater pollution
https://nepc.raeng.o[...]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2024-05
[77]
웹사이트
Reducing sewage in rivers and seas is public health priority, says Chris Whitt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78]
웹사이트
Paddling in rivers this summer could make children ill, warns Whitty
https://www.thetimes[...]
The Times
[79]
웹사이트
Minimising sewage in UK waters is a ‘public health priority’ – Chris Whitty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80]
웹사이트
Dozens of triathletes left severely ill after swimming in River Thame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81]
웹사이트
What's the problem with swimming in the Seine?
https://www.bbc.co.u[...]
BBC
[82]
간행물
家庭排水をきれいにするために
http://www.wit.pref.[...]
千葉県環境研究センター
[83]
뉴스
<환경>라인江,유럽에서 가장 깨끗한 江 명예 회복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6-10-17
[84]
간행물
Ground Water and Surface Water: A Single Resource
http://pubs.water.u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1998
[85]
법률
Clean Water Act, section 502(14)
http://www.law.corne[...]
[86]
법률
CWA section 402(p)
http://www.law.corne[...]
[87]
웹사이트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 환경기준(제2조 관련) [시행 2022. 12. 8.] [대통령령 제33023호, 2022. 12. 6., 타법개정]
https://www.law.go.k[...]
2023-02-20
[88]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
[89]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공항 건설’ 취소 그다음은?…“수문 열어 새만금 되살려야”
“이제 단수 해제” “수질 괜찮나”…도암댐 방류에 강릉 시민 반신반의
14년 만에 발령된 ‘광주 식수원’ 주암호 녹조경보 모두 해제
광산도 없는 알래스카 강에서 독성 중금속 검출
영구동토층 녹았다고 강물에 중금속이 콸콸…왜?
[단독] 도암댐 도수관 수질 '합격점'…24년 만에 방류?
[단독] '강릉 가뭄' 해결책 나오나…도암댐 24년 만 방류?
아파트 상수도 중단…'수질 합격' 도암댐 방류 가능성 (풀영상)
광주·전남 식수원 주암호 14년 만에 조류경보…확대 발령
[D리포트] 범어천에 생활하수 '콸콸'…오수·우수 분리 시급
이제는 취수장 앞 강물을 떠서 현장에서 검사한다
‘불법 폐수’ 현대오일뱅크 1761억원 과징금
부산 낙동강 하류 첫 조류경보 ‘관심’ 발령…“레저·어획 자제”
[자막뉴스] "이 물밖에 없는데, 마셔야지"…수백만 식수원 상태가
정선 주민들 “강릉 물 부족 핑계 도암댐 방류 시도 규탄”
[D리포트] 식수원에 녹조 '둥둥'…대안 없는 사태에 주민 불안
낙동강 중류에 또 찾아온 불청객…녹조라떼
또 '녹조라떼' 되나…녹색 기운 짙어지는 대청호, 수질 관리 비상
낙동강에 돌아온 멸종위기 ‘흰수마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